맨위로가기

1962년 FIFA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2년 FIFA 월드컵은 칠레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로, 1956년 FIFA 총회에서 칠레가 아르헨티나를 제치고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총 52개국이 예선에 참가했으며, 개최국 칠레와 전 대회 우승국 브라질이 자동 진출했다. 브라질은 결승전에서 체코슬로바키아를 3-1로 꺾고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가린샤, 바바, 레오넬 산체스, 얼베르트 플로리안, 발렌틴 이바노프, 드라잔 예르코비치가 4골로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대회는 경기장 안팎의 폭력과 거친 플레이로 얼룩졌으며, 브라질이 우승, 체코슬로바키아가 준우승, 칠레가 3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6월 -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62년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킹 비더 감독이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어떤 사랑》이 황금곰상을, 신상옥 감독의 《그날까지》가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 1962년 6월 - 노보체르카스크 사건
    노보체르카스크 사건은 1962년 소련 노보체르카스크에서 열악한 경제 상황과 임금 삭감에 반발한 노동자들의 시위에 군대가 발포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은폐된 사건이다.
  • 1962년 5월 - 머큐리-아틀라스 7호
    머큐리-아틀라스 7호는 스콧 카펜터 우주비행사를 태운 오로라 7호 우주선을 이용하여 지구 저궤도를 3회 선회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 미션으로, 연료 과다 소비로 착륙 지점이 계획보다 벗어났지만 무사히 회수되었으며 현재 우주선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1962년 5월 - 1962년 칸 영화제
    1962년 칸 영화제는 5월 4일부터 18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개최되었으며, 후루카키 데츠로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안셀모 두아르테 감독의 《산타 바르바라의 맹세》가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국제 비평가 주간이 처음 시작되어 다양한 작품이 상영되었다.
1962년 FIFA 월드컵
1962년 FIFA 월드컵
개최국칠레
개최 기간1962년 5월 30일 ~ 6월 17일
참가팀16
대륙3
경기장 수4
도시 수4
우승팀브라질
우승 횟수2
준우승팀체코슬로바키아
3위팀칠레
4위팀유고슬라비아
총 경기 수32
득점 총합89
총 관중수899074
득점왕가린샤
바바
레오넬 산체스
드라잔 예르코비치
얼베르트 플로리안
발렌틴 이바노프
득점4
이전 대회1958
다음 대회1966
기타 정보
1962 FIFA 월드컵

2. 개최국 선정

1962년 FIFA 월드컵 개최를 희망한 국가는 칠레, 아르헨티나, 서독이었다.[1]

개최국득표수결과
칠레32개최
아르헨티나11탈락
서독유치 포기



1956년 FIFA 총회는 1956년 6월 10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렸는데, 이 회의에서 칠레를 1962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1]

유럽이 2회 연속 월드컵을 개최한 후,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들은 1962년 대회는 남아메리카에서 열려야 한다고 요구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1938년 FIFA 월드컵과 유사하게 대회를 보이콧할 것이라고 밝혔다.[1] 이전에 입후보에 실패했던 아르헨티나가 가장 유력한 후보였다.[1] 칠레 축구 협회 위원회는 카를로스 디트본과 후안 핀토 두란의 주도하에 여러 국가를 순회하며 칠레가 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여러 축구 협회를 설득했다.

FIFA 총회에서 아르헨티나 후보를 대표하여 라울 콜롬보는 "우리는 내일 월드컵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갖추고 있습니다."라는 말로 연설을 마무리했다. 다음 날, 디트본은 칠레의 후보 자격을 뒷받침하는 네 가지 주장을 제시했다. FIFA가 주관하는 회의와 대회에 칠레가 지속적으로 참가한 점, 스포츠 기후, 인종과 종교에 대한 관용, 그리고 국가의 정치적, 제도적 안정성이었다. 또한 디트본은 "낙후된" 국가에서 스포츠를 발전시키는 대회의 역할을 다룬 FIFA 규정 제2조를 언급했다.[2]

콜롬보의 "우리는 모든 것을 갖추고 있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 디트본은 연설에서 "우리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것을 하고 싶습니다"(Porque no tenemos nada, queremos hacerlo todoes)라는 말을 했다.[3] 칠레는 32표를 얻어 아르헨티나의 10표를 제치고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3]

3. 지역 예선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 결과


1962년 FIFA 월드컵에는 57개국이 참가 신청을 했으나, 이 중 5개국이 기권하여 최종적으로 52개국이 예선에 참여했다. 개최국인 칠레와 전 대회 우승국인 브라질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나머지 14장의 본선 진출권은 각 대륙별로 배분되었다.

유럽(UEFA)에는 8장, 남미(CONMEBOL)에는 3장의 본선 진출권이 주어졌다. 아프리카(CAF), 아시아(AFC), 북중미카리브(CONCACAF)는 각각 0.5장의 진출권을 배정받아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을 다투었다.

1958년 FIFA 월드컵에서 준우승한 스웨덴과 3위를 차지한 프랑스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오스트리아는 재정 문제로 예선 도중 기권했다.

콜롬비아불가리아는 이번 대회를 통해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지역참가국 수비고
유럽 (UEFA)30개 팀8개 팀 본선 진출, 2개 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남미 (CONMEBOL)7개 팀3개 팀 본선 진출, 개최국 및 전 대회 우승국 자동 진출
북중미&카리브 (CONCACAF)8개 팀1개 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아시아 (AFC)3개 팀1개 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아프리카 (CAF)6개 팀1개 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3. 1. 예선 결과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에는 총 56개국이 참가하여 16장의 본선 진출권을 놓고 경쟁을 벌였다. 이 중 1958년 FIFA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스웨덴과 3위를 차지한 프랑스는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4. 경기장 및 개최 도시

1962년 FIFA 월드컵은 원래 산티아고, 비냐델마르, 란카구아, 아리카, 탈카, 콘셉시온, 탈카우아노, 발디비아의 8개 도시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60년 5월 22일에 발생한 발디비아 지진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어, 조직위원회는 월드컵 일정을 전면 수정해야 했다.[4] 이 지진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진으로 기록되었으며, 5만 명 이상의 사망자와 200만 명 이상의 피해자를 발생시켰다.

탈카, 콘셉시온, 탈카우아노, 발디비아는 심각한 피해로 인해 경기 개최지에서 제외되었고, 안토파가스타발파라이소는 재정 문제로 경기 개최를 거부했다. 결국 비냐델마르와 아리카는 경기장을 재건하는 데 성공했고, 란카구아는 당시 엘 테니엔테(El Teniente) 구리 광산을 운영하던 미국 회사인 브래든 구리 회사(Braden Copper Company)의 허가로 경기장 사용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차질로 인해 1962년 월드컵은 경기장 수가 가장 적은 대회 중 하나가 되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경기장은 산티아고의 에스타디오 나시오날로 10경기가 열렸고, 비냐델마르의 사우살리토 경기장에서는 8경기, 란카구아와 아리카의 경기장에서는 각각 7경기가 개최되었다.

4. 1. 경기장 목록

아리카랑카과산티아고비냐델마르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엘 테니엔테 경기장에스타디오 나시오날사우살리토 경기장
수용 인원: 17,786명수용 인원: 18,000명수용 인원: 66,660명수용 인원: 18,037명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
엘 테니엔테 경기장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사우살리토 경기장



원래는 8개 도시에서 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1960년 발디비아 지진으로 인해 경기장들이 피해를 입어 4개 도시의 경기장으로 축소되었다.[4]

5. 선수 명단

1962년 FIFA 월드컵의 선수 명단은 이전 대회인 1958년과 마찬가지로 22명으로 구성되었다.

아틸리오 데마리아루이스 몬티1930년 아르헨티나1934년 이탈리아를 대표했으며, 이후 페렌츠 푸슈카시(1954년 헝가리, 이후 스페인), 호세 산타마리아(1954년 우루과이, 이후 스페인), 호세 알타피니(1958년 브라질, 이후 이탈리아)가 월드컵에서 두 국가 대표팀을 대표한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선수가 되었다. 이를 감안하여 FIFA는 월드컵 또는 예선 라운드에서 한 국가를 대표한 선수는 다른 국가 대표팀으로 바꿀 수 없다는 규정을 만들었다.[5]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로베르트 야르니1990년 유고슬라비아, 1998년 크로아티아를 대표하며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 선수가 되었고, 다보르 슈케르 또한 두 선수 명단에 포함되었지만 1990년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의 새롭게 독립한 전 공화국이었기 때문에 FIFA는 이를 허용했다.

6. 조별 리그

1962년 FIFA 월드컵의 조별 리그는 16개 참가국이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당시 승리 팀에게는 승점 2점, 무승부 팀에게는 승점 1점이 주어졌으며, 승점이 같은 팀은 골득실차로 순위를 결정했다.

국가비고
1조소련, 유고슬라비아 8강 진출
2조서독, 칠레 8강 진출
3조브라질, 체코슬로바키아 8강 진출
4조헝가리, 잉글랜드 8강 진출


6. 1. 1조

경기수승점
소련321085+35
유고슬라비아320183+54
우루과이310246-22
콜롬비아3012511-61



; 1962년 5월 30일



; 1962년 5월 31일

; 1962년 6월 2일

; 1962년 6월 3일

; 1962년 6월 6일

; 1962년 6월 7일

6. 2. 2조

경기수승점
서독321041+35
칠레320153+24
이탈리아311132+13
스위스300328-60



경기 결과
날짜팀 1팀 2결과
1962년 5월 30일칠레스위스3 – 1
1962년 5월 31일서독이탈리아0 – 0
1962년 6월 2일칠레이탈리아2 – 0 (산티아고 전투)
1962년 6월 3일서독스위스2 – 1
1962년 6월 6일서독칠레2 – 0
1962년 6월 7일이탈리아스위스3 – 0



1962년 FIFA 월드컵 2조에서는 서독과 칠레가 8강에 진출했다. 이탈리아와 스위스는 탈락했다. 특히 칠레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산티아고 전투'로 불릴 정도로 격렬한 경기로 악명이 높았다.[10][11]

6. 3. 3조



경기수승점
브라질321041+35
체코슬로바키아311124-23
멕시코310234-12
스페인310223-12



1962년 FIFA 월드컵 3조에서는 브라질과 체코슬로바키아가 8강에 진출했고, 멕시코와 스페인은 탈락했다.

6. 4. 4조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 소련5321085+3
2-- 유고슬라비아4320183+5
3-- 우루과이2310246-2
4-- 콜롬비아13012511-6



요약에 따르면, 1962년 FIFA 월드컵 4조에서는 헝가리와 잉글랜드가 8강에 진출했고, 아르헨티나와 불가리아는 탈락했다. 잉글랜드는 아르헨티나와 승점이 같았지만, 골득실에서 앞서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4조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요약 내용을 출력할 수 없다.

7. 결선 토너먼트

1962년 FIFA 월드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은 6월 10일, 준결승전은 6월 13일, 3·4위전은 6월 16일, 결승전은 6월 17일에 각각 열렸다.

8강전에서는 칠레소련을 2-1로, 브라질잉글랜드를 3-1로, 유고슬라비아가 서독을 1-0으로, 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를 1-0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유고슬라비아를 3-1로, 브라질칠레를 4-2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칠레유고슬라비아를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체코슬로바키아를 3-1로 꺾고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7. 1. 8강전

1962년 6월 10일, 8강전 4경기가 일제히 열렸다. 아리카에서 칠레는 레오넬 산체스와 엘라디오 로하스의 득점으로 이고리 치슬렌코가 한 골을 만회한 소련을 2-1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하는 이변을 연출했다.[1]

비냐델마르에서는 브라질가린샤의 2골과 바바의 1골에 힘입어 게리 히친스가 한 골을 넣은 잉글랜드를 3-1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3]

산티아고에서는 유고슬라비아가 페타르 라다코비치의 결승골로 서독을 1-0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4]

랑카과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가 아돌프 셰례르의 결승골로 헝가리를 1-0으로 제압하고 준결승에 진출했다.[2]

경기일경기장팀 1득점팀 2득점자 1득점자 2
1962년 6월 10일에스타디오 카를로스 디트보른 (아리카)칠레2 – 1소련산체스, 로하스치슬렌코
1962년 6월 10일에스타디오 사우살리토 (비냐델마르)브라질3 – 1잉글랜드가린샤, 바바히친스
1962년 6월 10일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유고슬라비아1 – 0서독라다코비치
1962년 6월 10일에스타디오 엘 테니엔테 (랑카과)체코슬로바키아1 – 0헝가리셰레르


7. 2. 준결승전

1962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은 1962년 6월 13일에 두 경기가 열렸다.

비냐델마르의 에스타디오 사우살리토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유고슬라비아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카드라바가 선제골을 넣었고, 예르코비치가 동점골을 넣었지만, 셰레르가 두 골을 추가하며 체코슬로바키아가 결승에 진출했다.

산티아고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브라질칠레를 4-2로 꺾었다. 가린샤가 두 골을, 바바가 두 골을 넣었고, 토로와 산체스가 각각 한 골씩을 넣었다.

경기날짜시간경기장관중 수
체코슬로바키아 3 – 1 유고슬라비아1962년 6월 13일14:30에스타디오 사우살리토 (비냐델마르)5,890명
브라질 4 – 2 칠레1962년 6월 13일14:30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76,500명


7. 3. 3·4위전

1962년 6월 16일 산티아고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린 3·4위전에서 개최국 칠레유고슬라비아를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5] 로하스가 경기 종료 직전인 90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15] 이 경기는 67,000명의 관중이 지켜보았다.[15]

7. 4. 결승전

1962년 FIFA 월드컵 결승전1962년 6월 17일 산티아고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렸으며, 브라질체코슬로바키아를 3-1로 꺾고 2회 연속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1]

경기 시작 15분 만에 마소푸스트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2분 뒤 아마리우두가 동점골을 넣었다. 후반 69분 지투의 역전골과 78분 바바의 쐐기골로 브라질이 승리했다.[1]

1962년 FIFA 월드컵 결승전
브라질체코슬로바키아
1질마르 (GK)1빌헬름 슈로이프 (GK)
2자우마 산토스 (RB)12이지 티히 (RB)
3마우루 라모스 (주장)5스바토플루크 플루스칼 (CB)
5조지모 (CB)3포푸르할 (CB)
6뉴통 산토스 (LB)4라디슬라프 노바크 (LB, 주장)
4지토 (RH)19안드레이 크바슈냐크 (RH)
8지지 (LH)6요제프 마소푸스트 (LH)
7가린샤 (OR)17토마시 포스피카 (OR)
21마리우 자갈루 (OL)8아돌프 셰렐 (IR)
19바바 (CF)18요제프 카드라바 (IL)
20아마리우두 (CF)11요제프 예리네크 (OL)
감독: 아이모레 모레이라감독: 루돌프 비트라칠


8. 우승국


  • -

'''브라질'''은 1962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하여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1]

브라질은 1958년 FIFA 월드컵에 이어 196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우승하였다.[1]

9. 득점 선수

순위선수국가득점
1가린샤브라질4
바바브라질
레오넬 산체스칠레
얼베르트 플로리안헝가리
발렌틴 이바노프소련
드라잔 예르코비치유고슬라비아
7아마리우두브라질3
아돌프 셰레르체코슬로바키아
티치 러요시헝가리
밀란 갈리치유고슬라비아
11하이메 라미레스칠레2
엘라디오 로하스칠레
호르헤 토로칠레
론 플라워스잉글랜드
우베 젤러서독
자코모 불가렐리이탈리아
호세 사시아우루과이
18이고리 치슬렌코소련2
빅토르 포네델니크소련
20엑토르 파쿤도아르헨티나1
호세 산필리포아르헨티나
마리우 자갈루브라질
지투브라질
펠레브라질
게오르기 소콜로프불가리아
헤르만 아케로스콜롬비아
마르코스 콜콜롬비아
안토니오 라다콜롬비아
마리노 클링헤르콜롬비아
프란시스코 술루아가콜롬비아
조세프 카드라바체코슬로바키아
바츨라프 마셰크체코슬로바키아
요세프 마소푸스트체코슬로바키아
요세프 슈티브라니체코슬로바키아
보비 찰턴잉글랜드
지미 그리브스잉글랜드
게리 히친스잉글랜드
알베르트 브륄스서독
호르스트 스치마니아크서독
솔리모시 에르뇌헝가리
브루노 모라이탈리아
알프레도 델 아길라멕시코
43이시도로 디아스멕시코1
엑토르 에르난데스멕시코
알렉세이 마미킨소련
아델라르도 로드리게스스페인
호아킨 페이로스페인
하인츠 슈나이터스위스
롤프 뷔트리히스위스
앙헬 카브레라우루과이
51루이스 쿠비야우루과이1
보이슬라프 멜리치유고슬라비아
페타르 라다코비치유고슬라비아
요시프 스코블라르유고슬라비아



총 54명의 선수가 89골을 넣었으며, 자책골은 없었다.

10. 최종 순위

1986년 FIFA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1962년 대회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14][15]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브라질1962년 FIFA 월드컵/3조6510145+911
2체코슬로바키아1962년 FIFA 월드컵/3조63127707
3칠레1962년 FIFA 월드컵/2조6402108+28
4유고슬라비아1962년 FIFA 월드컵/1조6303107+36
8강전 탈락
5헝가리1962년 FIFA 월드컵/4조421183+55
6소련1962년 FIFA 월드컵/1조421197+25
7서독1962년 FIFA 월드컵/2조421142+25
8잉글랜드1962년 FIFA 월드컵/4조411256−13
조별 리그 탈락
9이탈리아1962년 FIFA 월드컵/2조311132+13
10아르헨티나1962년 FIFA 월드컵/4조311123−13
11멕시코1962년 FIFA 월드컵/3조310234−12
12스페인1962년 FIFA 월드컵/1조310223−12
13우루과이1962년 FIFA 월드컵/3조310246−22
14콜롬비아1962년 FIFA 월드컵/1조3012511−61
15불가리아1962년 FIFA 월드컵/4조301217−61
16스위스1962년 FIFA 월드컵/2조300328−60


11. 기타

이 대회는 경기장 안팎의 폭력 사태, 거친 플레이, 심판 판정 논란 등으로 얼룩졌다. 경기당 평균 득점은 2.78골로, 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3골 아래로 떨어졌다. 당시 최고의 골키퍼로 여겨졌던 소련의 레프 야신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칠레의 카를로스 디트본은 대회 개막 한 달 전에 사망하여, 자신의 노력이 성공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아리카의 월드컵 경기장은 '에스타디오 카를로스 디트본'으로 명명되었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지만, 이 대회를 통해 월드컵 본선 진출을 향한 열망을 더욱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17]

참조

[1] 웹사이트 FIFA World Cup 1962 – Historical Football Kits http://www.historica[...] Historicalkits.co.uk 2014-06-29
[2] 웹사이트 Carlos Dittborn Pinto – 1962 FIFA World Cup https://web.archive.[...] DoFooty.com 2012-12-16
[3] 뉴스 "Porque no tenemos nada...": la icónica respuesta a Argentina que pasó a la historia https://www.biobioch[...] 2022-05-31
[4] 서적 Historia de la vida privada en Chile Aguilar Chilena de Ediciones
[5] 웹사이트 FIFA national team eligibility: Rules, players who have switched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www.goal.com[...] 2020-01-17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orld Cup Final Draw https://web.archive.[...] 2012-03-02
[7] 웹사이트 Compact book of the World Cup http://www.collier-i[...]
[8] 웹사이트 World Cup History: 1962 http://www.espnfc.co[...] ESPN Internet Ventures 2014-04-30
[9] 논문 The game has changed –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fy FIFA World Cups https://www.tandfonl[...] 2020-07-02
[10] 웹사이트 Italy World Cup Rewind: Infamy at the Battle of Santiago, 1962 http://bleacherrepor[...]
[11] 웹사이트 Italy World Cup Rewind: Infamy at the Battle of Santiago, 1962 http://bleacherrepor[...] 2014-02-28
[12] 웹사이트 FIFA World Cup Record – Organisation https://web.archive.[...] FIFA
[13] 서적 Fussball WM Enzyklopädie 1930–2006 Agon Sportverlag
[14] 웹사이트 page 45 https://web.archive.[...] 2012-03-02
[15] 웹사이트 FIFA World Cup: Milestones, facts & figures. Statistical Kit 7 https://web.archive.[...] FIFA 2013-03-26
[16] 서적 ワールドカップの国際政治学 朝日新聞社
[17] 문서 旧ドイツ時代を含む。
[18] 문서 RSSSFではこのゴールをゲオルギ・アスパルホフとしている。
[19] 웹인용 History of the World Cup Final Draw https://web.archive.[...]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